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공약중에.
부가세 20%인상이라는 항목이 있다로 하더군요.
현행 10% 에서 12%가 되는데요.
이는 "물가인상" 이라는 직격탄이 되겠네요.
하지만 단순히 물가인상 2%에서 그칠까요?
쉽게 생각해도 2% 이상 인상이 될것입니다.
당신이 가격을 책정한다면 1000원 짜리 제품을 부가세 인상해서.
1020원에 팔겠습니까? 1100원에 팔겠습니까?
모; 부가세 별도라면 10%별도로 받던것을 12%로 변경해서 결재하면 그만이겠지만,
소규모 사업자들은 100원단위/1000원 단위로 인상하거나, 인상하지 않게 될것입니다?
인상하지 않는다면,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2%의 수익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될것이구요.
결국 물가는 오르고, 공공요금 인상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아....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세상.ㅠ_ㅠ
아름답군요.ㅠ_ㅠ
'[Season II] 20원짜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해보면 저는 항상 제 손에 움켜 쥐고 있는것을 놓지 못했습니다. (2) | 2013.04.11 |
---|---|
시간은 날 이곳으로 데려다 놓았고.. (0) | 2013.04.10 |
부가세 인상과 물가 인상 (6) | 2012.12.21 |
박근혜 후보 대통령 당선 (4) | 2012.12.20 |
투표를 해야 하는 이유 (0) | 2012.12.18 |
기회는 평등할 것입니다. 과정은 공정할것 입니다. 결과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12) | 2012.12.12 |
-
부가세는 최종 판매물에만 포함되는게 아니라, 중간 재료나 원자재에도 들어가니...
10%에서 12%로 올리면
세수는 2%가 오를지 몰라도
최종 소비자 가격은 2%차이가 아니라
실제로는 복리이자처럼 꽤 커지게 되죠. -
들꽃 2012.12.24 09:02 신고
일본서 부가세가 3% -> 5%로 인상됐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났냐면 어쩔 수 없는 곳은 물가 상승하고 그외에도 대형마트 같은 곳에선 협력업체에게 단가 인하를 요구했죠.. 특히 생필품, 저가 상품일수록 경쟁업체가 많으니까 갑의 요구를 거절할 수가 없는 건데, 그러면 그럴수록 단가인하 -> 비정규직 증가 -> 내수불황 -> 장기 디플레의 늪으로 점점 더 빠져들었습니다~!!!
-
난다문 2013.01.15 00:40 신고
draco님의 글을 돕고자 합니다.(마진률 10%,부가세 10%가정)
농심에서 라면만드는데 1000원이 들어 간다고 할때
과연 소비자가는 얼마가 될지 간단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물건은 유통단계를 거치는데
우선 기업(농심)마진을 부치겠죠
100원을 부친다면
부가세 포함해서 아마 1210에 물류센타에 납품될 것입니다.
물류센타도 마진을 부치면 1210+121 = 1331원 여기에 부가세
121 * 10% = 12.1원
1331+12 = 1343원 이 되고요
도매점으로 넘어가면 1343 + 134 = 1477 여기에 부가세
134 * 10% = 13.4원
1477 + 13 = 1490원
드디어 우리가 라면을 살 수 있는 소매점
1490 + 149 = 1639 여기에 부가세
149 * 10% = 15원
1639 + 15 = 1654원
1000원 짜리 물건에 포함된 부가가치세는 100 + 12 + 13 + 15 = 140원이 됩니다.
부가세율 10% 마진율 10%를 했을 경우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 부가세는 14%가 됩니다.
유통과정이 길수록 부가가치세는 더 많이 발생된다고 볼수있죠
부가세12%가 된다면 최종소비자가 내는 부가세는 계산은 안해봤지만
18%정도는 될 것같네요